①高丽史·輿服志[在樂志下] ,稍,已经的意思;擬,比照、效仿的意思 ,고려사,권 제 72, 지제, 26. 여복. 高麗史 여복지에 “ ...新羅(신라) 太宗(태종)왕 청습(請襲) “唐儀” 是後 冠服之制 ..中華.....“ 라 되어 있다. 또 新唐書 新羅傳에 “......春秋 來朝 ...請改 ”章服“ 從 中國制....”라 되어 있고, 통전, 변방 新羅傳에는 “大唐 貞觀 22년, 그 王.....春秋 來朝 ...請改 ”章服“ 以從 華制...”’라 되어 있다.
1)후한서, 지제 30, 여복, 하.
. 9)수서권 12, 지제, 7, 예의 7. : 당서 권 24, 지제 14, 거복.
10)염립본, 제왕도.
13)후한대 袴(고). 襪(말)은 바지에 襪(말:버선)을 붙여서 만든 제도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14)삼본정년, 문광희역,(1998), 동양복장사 논고, 중세편, 서울, 경춘사, p.138. 15)황금의 착환을 끼운다는 것은 칼 손잡이의 상단에 환을 황금, 도금 또는 상감을 하는 것을 말한다.16)통신초착이란 刀身(도신) 전체를 담비의 털처럼 도금 또는 상감한 것이다. 17)칼집 반을 교피로서 싸는 것. 18)문광희역, 삼본정년,(1995), 동양복장사 논고, 고대편, 서울,경춘사, 187.
19)칼집의 끝부분 장식을 말한다. 20)임명미,(2001), 한중일, 3국의 규.홀에 관한 연구,복식, 51,2호,p.8 서울, 한국복식학회,p.8 笏 使用時, 行禮時에는 반드시 圭.笏을 手中에 두고, 禮를 마치면 허리의 帶사이에 끼워두는데, 笏을 帶에 끼우려 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한다. 제후나 대부가 天子를 謁見하거나 敬禮시에도 반드시 손에 笏을 지녔으며, 임금 앞에서 諸侯나 百官이 무슨말을 하거나 指示를 할 때는 반드시 笏을 使用하여 말하고 指示하며, 또 임금의 命을 받으면, 잊어버리지 않도록 笏에 記錄하는 등의 目的으로 笏을 使用 하였다. 大夫가 公所에 나아갈때는 대부의 家臣이 대부에게 笏을 올렸는데 笏을 바칠때는 왼손에 쥐고, 오른손으로 왼손의 아래를 받쳐서 드렸다.,
21) 위의 책, 20 22) 위의 책, 동면. 23)순은 발 앞 끝부분이 위로 젖혀진 것을 말한다. 24)당대의 화가 염립본의 『역대제왕도권』면복착용 초상화. 25)송태조 건륭 원년(968-976), 송사 권151, 지제104, 여복 3. 26)이선희, (1992),제복의 기원과 변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7)정하신,(1992), 중국복식 예제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28)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2002), 한국의 칼 특별전 도록집. 29)고려사 지권,제 26, 여복1. 30)유대규, 신용봉문양집, 천진 인민미술 출판사, p124 도10. 31)황능복,외 1인,(1994),중국복장사, 중국여유출판사, p285 도2. 32)황능복,외 1인,(2000),중화역대복식예술, 중국여유출판사, p374 도9-132.
汉代的裳别名也叫襦裳,不是襦裳的情况下把上段的衽剪掉缝制成并排的形式,腰部要比下摆窄一些(유상이 아닌 경우는 상단(上段)의 옆선을 자르고 나란하게 박음질하는데, 허리부분은 아랫도련 보다 좁게 되도록 재봉한다.)。唐代的祭服裳不连衣,前三幅,后四幅总七幅,底色是赤黄色,制作方法是将上下相同宽度的一块布整齐地连接起来。。在阎立本的画作中可以看到,裳衣色是赤黄,下摆是黑色的裙褶做装饰,在下裳上绣上水藻,粉米,黼,黻这4章纹,宋初的制度裳是纁裳,绣水藻,粉米,黼,黻这4章纹,在裳下面露出来的部分前面有3个宽幅,中间的宽幅留空,两侧宽幅竖着绣2行水藻,粉米,黼,黻这4章纹,在后幅中有4幅宽,每一幅宽上竖着绣2行这水藻,粉米,黼,黻这4章纹,总共加起来就是12行刺绣。在唐代阎立本帝王图画中可以看到,在裳的下摆上是用黑色和薄茶色的细褶做装饰。到了明代下裳是黄色,前3幅和后4幅连接,刺绣纹样以宗彝、水藻纹2行,粉米,黼、黻2行做装饰,前后幅连接起来像帷帐一样,制成一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