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추가 지난지 일주일이 되었는데도 더위는 물러갈 기색이 전혀 없다. 오늘은 모처럼 야외에서 가족모임이 있는 날이다. 장소는 여동생이 미리부터 동해안의 모처로 정해 놓았으나 오가는 도로 사정이 여의치 않을 것을 미리 예감하고 가평군 하면 상판리에 있는 청암산장으로 변경하여 각자 목적지에서 모이기로 하였다.
운전을 하면서 지나는 길에 들려 볼만한 곳은 없을까.? 생각하다가 조종암을 들리기로 하였다. 청평검문소 삼거리에서 좌회전하여 현리 방향으로 달리다 보면 옆으로 흐르는 큰 하천은 일명 청평천이라 부르는 조종천이다. 가평군 하면 상판리(명지산. 연인산. 운악산)계곡에서 발원해 동남쪽으로 흘러 북한강으로 합류한다. 막바지 휴가철 연휴라 그런지 자동차는 밀려서 밀려서 어느만치 왔는지 가늠하기 조차 어렵다. 조종천길은 울창한 숲과 높은 절벽들이 이어지며 그 아래로는 아직 맑고 깨끗한 내(川)가 천천히 때로는 빠르게 흐르고 있다.
조선시대 이맹균(李孟均)이 이 고장을 지나며 감탄해서 쓴 글이 ‘동국여지승람’에 실려 있다.
"일찍이 포천 가는 길에 굴파(屈坡)를 넘어
안장을 내리고 잠깐 조종에서 쉬었다.
어지러운 산 깊은 골을 뚫고 가는데,
한 가락 길이 꼬불꼬불 굽이도 많다.
비록 말을 꾸짖으며 걷고 건너기 어려워도,
이 고을에 이르니 마음이 이미 시원하다.
가닥진 여러 봉우리 온 고을을 감쌓는데,
천 가지 모습만 가지 형상이 다 기절(奇絶)하다....."
이 절경을 따라 흐르는 조종천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맑은 내 중의 하나로 꼽힌다. 밀려서 어느정도 왔을까. 삼거리에서 우회전하여 새로 놓은 다리를 건너면 조종천은 갑자기 활처럼 휘어지며 잘 닦여진 2차선 도로가 나온다. 500여m쯤 서행하다 보니 그 왼쪽 길 언덕위에 조종암(朝宗巖)이 있다. 오늘 내가 찾은 곳이 바로 이 대보리에 위치한 대보단 조종암과 요동백 충무공 김응하장군을 제사하는 대통묘(大統廟)이다.
완만한 언덕을 오르니 커다란 홍살문이 보이고 높이 이어진 돌 계단이 고즈넉하다. 옆으로는 관리사 인듯한 현대식 건물이 보이지만 농사일로 밭에 나갔는지 불러도 대답이 없다.. 고개숙여 잠시 묵례를 올리고 계단을 오르니 조종제라 쓴 커다란 현판이 걸려있는 재실이다. 조종재 벽에 걸려있는 각종 중건기 중수기등 현판을 둘러보고 중간 계단을 오르니 공북문(拱北門)이 보인다. 잠깐동안 공주 공산성의 공북루(拱北樓)를 떠올린다. 무슨 연관이 있지나 않을까? 왜냐하면 공산성의 공북루 기문을 우암 송시열선생이 지었고 이곳 조종암의 ‘사무사(思無邪)’ ‘일모도원 지통재심(日暮途遠, 至痛在心)’이라 쓴 암각문도 송시열의 필체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공북문을 지나 대통묘에 이르니 아쁠사 문이 굳게 잠겨있다. 대통묘(大統廟)라 쓴 현판만 올려다 볼뿐. 이리저리 둘러 보았지만 내부에 모셔져 있는 충무공의 위패는 친견을 하지못한채 아쉬운 발 걸음을 돌려 가족들이 기다리는 청암산장으로 달린다.